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hololive 프로덕션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논란 및 사건 사고 == * 보통은 hololive 프로덕션의 논란은 hololive 프로덕션 전체보다는 브랜치 단위로 발생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hololive EN과 hololive DEV_IS인데 JP와 달리 EN은 맴버들의 주거지가 국가 단위로 각각 떨어져 있다는 특징상 원활한 운영이 까다로운 데다가 코로나 문제까지 겹쳐서 3D 데뷔가 상당히 늦어졌다. 이 때문에 스태프도 아닌 방송 맴버인 [[왓슨 아멜리아]]가 자체 스튜디오를 차려서 EN 콘텐츠 기획을 견인하기도 했으며, hololive DEV_IS는 컨셉과 목표 없이 ReGLOSS 팀을 시작으로 모집되어 맴버들이 혼란스러워했으며 엉망인 운영과 스태프의 무능함으로 인해 ReGLOSS 멤버들이 줄줄이 졸업을 고민, 팀이 해체되기 직전에 몰릴 정도로 굉장히 많이 고생했다. ReGLOSS 팀의 경우 [[히오도시 아오]]가 다른 멤버들의 멘탈 케어를 맡거나 스태프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어필하는 등 팀을 이끌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TETRIS 99]]나 [[모여봐요 동물의 숲]] 등 [[닌텐도]] 사의 작품으로 방송도 많이 했었는데 사실 이 때까지 했던 방송들 전부가 '''닌텐도 사에 대한 저작권 위반이었다.'''[* 닌텐도 사에서 공식적으로 허용하고 있던 버츄얼 기업은 [[니지산지]]([[ANYCOLOR|애니컬러]])가 유일했다.] 단순한 개인방송인이 아닌 엄연히 '''하나의 법인에 소속된''' 멤버들이기에 스트리밍에 있어 닌텐도의 정책에 위반된 것, 이로 인해 논란이 터지면서 홀로라이브는 이에 대해서 사과문을 공지하며, 이후 닌텐도 사와 전면계약체결을 시도 했고 2020년 8월 1일에 닌텐도 사와 전면 계약 체결이 되면서 합법적으로 방송이 가능해졌고 2021년 10월 15일부터는 사전승인 없이 자유롭게 닌텐도 게임 방송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과 비슷한 이유인지 캡콤 역시 오오카미 미오에게 저작권 신고를 넣기도 했고, 키리누키를 보면 과거 [[몬스터 헌터 월드]]의 실황이 진행된 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원본 아카이브를 보려고 하면 모두 내려가 있다.[* 현재는 캡콤의 자사게임 스트리밍 방침이 변경되며 해결되었다. 그로인해 홀로라이브에 대대적인 [[몬스터 헌터 라이즈]] 붐이 일었고, 바이오 하자드 빌리지의 체험판 실황도 자주 올라온다. 그리고 [[오오조라 스바루]]와 [[하쿠이 코요리]] 역시 록맨의 실황을 진행하기도 했다.] 비슷한 이유인지 페코라나 스바루 등이 했던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실황도 키리누키만 남아있고 원본 영상을 볼 수 없었다. * 같은 연유로 [[프롬 소프트웨어]]의 게임들도 관련 영상들이 모조리 날아가고, 오랫동안 가망이 보이지 않아 제대로 찍혀서 영영 방송이 불가능할 것이라 여겨졌다.[* [[엘든 링]] 발매직전에 [[타카나시 키아라]]가 대놓고 방송에서 그 게임에 관심을 보였지만 '''모종의 사정으로''' 방송에선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확인사살했다.] 그런데 [[엘든 링]] 발매 시간 직전에 스타즈의 릿카가 엘든 링의 방송 예고를 띄우면서 '''드디어, 마침내''' 송출허가를 받았음이 밝혀졌고, 그와 동시에 다른 멤버 여럿이 엘든 링의 방송 예고를 시작했다. * 5기생들이 [[환경미화원|청소노동자]]에 대한 비하 발언을 해서 논란이 되었던 적이 있다. * 후술할 [[hololive 키류 코코-아카이 하아토 대만 언급 논란|중공과의 트러블]]이 제대로 터진 이후 주요 당사자인 [[키류 코코]]는 활동기간 말기에 안티 [[분청]]들의 사이버 불링에 시달려야 했으며, 운영 측의 어이없는 실수로 사이버 불링이 가속화된 적도 있다. 뿐만 아니라 콜라보 등으로 코코와 연관된 다른 버튜버들까지 사이버 불링의 차기 목표로 지목되면서 피해가 점점 확산되기도 했다. * 2020년 12월 17일 [[시라카미 후부키]], [[네코마타 오카유]], [[시시로 보탄]] 등이 [[ASUS ROG]]와 협업으로 ROG 제품을 소개하는 광고를 할 예정이었으나, 대만 기업의 제품을 홍보한다는 것에 자극을 받은 중국인 시청자들이 [[순간적인 상황 변화|순간적인 분노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ASUS 제품을 '''때려부수며 항의를 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ROG 중국 지사에서도 본인들은 하나의 중국기업이니까 빨리 방송 취소하겠다고 [[:파일:ROG 중국지사가 벌인 만행.png|역으로 방해]] 하는 막장을 보여주고 한수로 홀로라이브 엄마는 죽었다라는 패드립까지 보여주었다. 결국 ASUS는 콜라보 행사를 전면 취소했다.[[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0120108|짱X에 굴복한 일본 버튜버]][[https://www.4gamers.com.tw/news/detail/45985/china-asus-pressure-japan-asus-cooperate-with-hololive|Asus 내전, 중국, 일본에 ROG 및 Hololive 협력 생중계 철회 압박]] * 갑작스러운 디자인 변경으로 모모스즈 네네의 오프라인 라이브 참가는 물론 신년의상과 3D 모델링까지 죄다 취소 및 연기되거나, 오오조라 스바루의 2주년기념 3D 방송이 5개월 가까이 미뤄지다 결국 취소되었다. * 시라누이 후레아는 초기 2D 아바타와 정월 2D 아바타, 초기 3D 모델을 사용하는데 문제가 생겼고, 사복 2D 아바타를 지급받은 2020년 11월부터 초기 아바타를 리뉴얼한 2021년 12월까지 1년이 넘는 기간동안 대부분의 방송을 2D 아바타 하나로 진행해야했다. 이 기간 동안 홀로 공식에서 후레아의 출연 빈도가 줄고, 외부 광고 방송 등도 줄어들어 불이익을 보게 되었다. 후레아는 의상 문제가 해결되고 나서 일이 늘어났다며 운영과 안건을 주는 기업에게 감사를 표했다.[[https://twitter.com/shiranuiflare/status/1516013281504235525?s=20&t=ezJf4zXxwsvOLO9pKi9uGQ|#]] * 2023년 5월 상당한 규모의 [[https://note.cover-corp.com/n/n50eb4a7180a6|신규 스튜디오]]를 만들었으나 해당 스튜디오에서의 라이브에서 지속적으로 기술적 이슈가 발생해왔고, 결국 6월 2일 공지를 통해 커버 사의 기술력 및 인력 부족 문제로 인해 앞으로 예정된 많은 홀로멤들의 3D 라이브가 모두 연기되었다는 사실을 공표하였다. 6월 3일 기준 확인된 멤버는 [[모모스즈 네네]], [[시시로 보탄]], [[유키하나 라미]], [[오마루 폴카]], [[시라누이 후레아]], [[유즈키 초코]], 홀로스타즈의 [[야토가미 후마]], [[미나세 리오]], [[유코쿠 로베루]], [[카나데 이즈루]]. * EN 측 공식 트위터 계정은 유난히 정보 업데이트가 늦거나 사고를 일으켜서 팬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오탈자 정도는 예삿일이고 한정 판매 에디션이 존재하는 기념 굿즈 공지를 몇 시간이나 늦게 올리거나[* 홀로라이브 공식샵의 한정 굿즈는 몇 분, 빠르면 몇 초만에 다 나갈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 심지어 EN 멤버들의 굿즈 발매 공지를 EN 계정이 늦게 올리는 것은 참작의 여지가 없다.] 신곡이나 커버곡 홍보 트윗을 실수로 공개 일정보다 일찍 올려 유출이 일어나는 등 관리가 미흡한 면을 보인다. 2023년 연말 카운트다운 라이브 참가자를 공개할 때는 홀로스타즈 사이드의 혼성 파트 게스트 공개 트윗에서 홀로스타즈 멤버들이 들어간 부분을 자르고 홀로라이브측 게스트 멤버들만 들어간 이미지를 올리면서 큰 반발을 사기도 했는데[* 홀로스타즈 측 참가자들을 먼저 공개하고 게스트를 따로 공개한 식이 아니라 혼성 무대 참가자들 전원을 한번에 공개하는 식인데 굳이 이미지를 잘라 올린 데다가, 원본 이미지의 일본어 텍스트가 잘리고 남은 것을 수정하지도 않고 그대로 놔둬서 논란이 일어났다. JP와 ID 공식 계정에서는 정상적으로 전원이 들어간 이미지를 올려서 더 비교가 되었다.] 결국 이에 대해 사과 공지를 올렸다. 2023년 말 이후로는 상당히 개선되어서 EN은 물론이고 홀로라이브 JP, ID측의 공지도 빠르게 올리며 관련된 트윗들도 적극적으로 리트윗하는 등 발전된 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단 각 멤버들의 생일 및 기념일에 올리는 이미지의 디자인 센스들은 여전히 [[디자이너를 괴롭히는 방법|애매한 센스로 놀림거리가 되고]] 있었는데, 이 역시도 [[코세키 비쥬]]의 생일을 기점으로 디자인이 일신했다. * 2025년 3월 10일부터 방송된 [[우사다 페코라]]가 진행했던 포켓몬스터 에메랄드 플레이 영상에서 [[개조 롬]]을 쓴 듯한 정황이 포착되어 논란이 일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kizunaai&no=11684230|#]] 페코라가 플레이한 게임의 데이터와 개조 롬의 데이터가 일치한다는 점이 근거. 다만 본인은 개조 롬인 줄은 몰랐다고 해명했기에 본인보다는 그 개조 롬을 제공한 판매자의 책임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커버는 공지를 통해 닌텐도 사와 연락을 취하여 경위를 파악하고 해당 동영상 및 관련 방송의 아카이브를 전부 비공개 처리하기로 하였으며 탤런트 본인에게도 문제 상황을 주지시키고 재발 방지 교육을 행했다고 밝혔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